홍대는 2000년대 들어 가장 발달한 상권으로 평가받는다. 2002년 한·일 월드컵 특수를 통해 본격적인 성장을 시작한 홍대 상권은 이후 커피·음악·사진으로 대변되는 문화의 메카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홍대는 이웃한 신촌을 제치고 서울 서북부 최대 상권으로 발돋움 했으며 자영업자이 홍대 상권으로 몰려들면서 점포 품귀 현상까지 빚어졌다.
또 상권 인근의 주택을 빌리거나 매입해 개조판 점포도 우후죽순처럼 생겨나 상권 내 권리금과 임대료가 천정부지로 치솟았지만 점포가 부족해 혀재는 상수역과 합정역 방면으로 상권 영역 자체가 넓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황금기를 구가하던 홍대 상권이 최근 들어 주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3일 점포거래 전문기업 점포라인이 홍대·명동·대학로·강남역·신림·건대입구 등 서울에서도 가장 유력한 6대 상권의 점포매물 1065개를 조사할 결과 홍대 상권만 연평균 점포 권리금이 지난해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홍대 상권 점포 287개, 평균면적 145.53㎡의 평균 권리금은 1억3531만원으로 6대 상권 중 명동 다음으로 높았다.
하지만 올해 124개, 평균면적 122.31㎡의 평균 권리금은 지난해보다 5.56%(752만원) 떨어진 1억2779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홍대 상권의 연평균 점포 권리금이 하락세를 보인 것은 2008년 이후 3년만이다.
반대로 권리금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신림 상권인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평균 권리금은 8651만원이었지만 올해 들어 2004만원이 오라면서 1억원 고지를 넘어선 것.
이어 대학로 상권이 15.84%(1785만원) 올랐고, 명동(12.45%), 건대입구(5.69%), 강남역(1.2%) 순으로 권리금이 올랐다.
이와 관련 점포라인 정대홍 팀장은 “신림 상권은 유동인구량이 적지 않으면서도 임대료가 저렴해 이를 선호하는 소자본 자영업자들의 선호도가 높고, 대학로는 문화소비를 선호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마케팅이 가능해 1~2억원대 자금을 가진 자영업자들의 선호도가 꾸준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이어 “홍대 상권은 저렴한 임대료와 문화코드라는 두 가지 경쟁력을 모두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성장이 가능했다”면서 “기존의 위상은 유지되겠지만 비교우위를 지닌 경쟁력이 사라진 만큼 자영업자들의 신규 유입이 얼마나 이뤄질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