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울 강남에서 상가를 임차해 GS25 편의점을 운영하는 A씨는 최근 매물로 내놓은 이 가게의 권리금을 2억원에서 3억원으로 올렸다. 점포를 임차하려는 투자자가 예상 외로 몰렸기 때문이다. A씨는 “브랜드 편의점으로 자리 잡은 이곳을 개인편의점으로 바꿔 수익을 늘리려는 창업자들이 많았다”며 “건물주와 협의해 일단 권리금을 올려놓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2. 서울 서대문구에서 제과점 창업을 준비하던 B씨는 최근 매물로 나온 상가를 알아보다 깜짝 놀랐다.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가까워 눈여겨보던 상가의 권리금이 지난해 11월 1억원에서 최근 2억5,000만원으로 두 배나 넘게 뛴 탓이다. B씨는 “해당 상가가 리뉴얼 공사를 해 시설권리금(7,000만원)이 포함돼 있기는 하지만 올라도 너무 올랐다”며 “5월 성수기 전에 인수하려고 했는데 권리금 때문에 망설여진다”고 말했다.
최근 서울지역 상가의 권리금이 급등하고 있다.
21일 상가정보업체 점포라인이 올 1ㆍ4분기 서울 소재 점포 6,758개를 분석한 결과 점포당 평균 권리금은 1억800만원으로 지난해 11월 이후 다시 1억원선을 넘어섰다.
특히 지난해 4ㆍ4분기 평균 권리금 7,518만원보다 43.7%나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상가 권리금 급등세는 경기침체와 실직 등을 창업으로 타개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저금리 추세가 지속되는 것도 창업수요 증가 및 권리금 상승에 영향을 미친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업종별로는 커피숍ㆍ제과점 등 패스트푸드 업종의 권리금이 지난해 4ㆍ4분기 7,772만원에서 1억6,002만원으로 두 배가량 증가하며 상승세를 이끌었다. 특히 제과점의 경우 등록매물이 같은 기간 291개에서 374개로 늘었음에도 권리금이 오히려 크게 올라 매물 수가 늘면 권리금이 낮아진다는 통념을 뒤집었다.
정대홍 점포라인 팀장은 “실직자들이 늘어나면서 안정적 창업 아이템을 찾는 투자자들이 느는 추세”라며 “제과점이나 편의점 등 프랜차이즈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업종에 대한 관심이 높다”고 전했다.
실제로 1ㆍ4분기 제과점과 편의점의 평균 권리금은 각각 2억3,210만원과 9,022만원으로 지난해 4ㆍ4분기보다 1억1,1901만원, 3,717만원씩 증가했다. 반면 전통적으로 창업 1순위에 꼽혔던 음식 업종은 프랜차이즈 업종에 비해 상대적인 불안정성이 부각되면서 같은 기간 권리금이 9,906만원에서 1억1,759만원으로 1,853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부동산업계 전문가들은 이 같은 권리금 상승에 대해 창업수요가 몰리는 계절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투자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경기침체로 대부분의 상가 매출이 하향세를 기록하는 상황에서 고액의 권리금을 지불하면서까지 창업에 나섰다가는 수지타산을 맞추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선종필 상가뉴스레이다 대표는 “권리금 자체는 임차인 간 호가에 불과해 시장 상황에 따라 등락이 심하다”며 “해당 상가의 권리금 추이를 잘 살피지 않으면 뜻하지 않은 손해를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선 대표는 “영업 권리금의 경우 1년가량 상가를 운영한 이익금으로 보전할 수 있는 수준에서 결정되는 게 합리적”이라며 “건물주와 계약갱신에 대한 합의도 미리 해둬야 한다”고 조언했다.